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15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50개 세 글자:260개 네 글자:199개 다섯 글자:103개 여섯 글자 이상:154개 모든 글자:867개

  • : (1)마작에서, 자리를 정할 때 ‘北’ 패를 잡아 서가(西家) 다음 자리에서 그다음 차례로 놀이하는 사람.
  • : (1)의금부(義禁府)의 북쪽 감방. (2)‘뒷간’의 방언
  • : (1)‘감자’의 방언
  • : (1)중국 광둥성에 있는 큰 강. 광둥성 3대 강의 하나로, 수운이 편리하여 옛날부터 장시성과 후난성과의 교통 운수에 기여한 바가 많다. ⇒규범 표기는 ‘베이장강’이다. (2)북방의 국경.
  • : (1)두 손을 등 뒤로 젖히고 묶는 일.
  • : (1)‘베이징’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2)북쪽의 변경. 또는 북쪽 경계.
  • : (1)고조선의 평양 서쪽 땅. 삼국 시대에 고구려가 차지한 땅으로, 고려 성종 13년(994)에 패서도(浿西道), 그 뒤에 북계(北界)라 하였으며, 15대 숙종 7년(1102)에 서북면(西北面)으로 고쳤다. (2)동물 지리학상의 구역.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대륙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전북구(全北區)와 구열대구(舊熱帶區)로 나눈다. 제3기 시대에 북계 전부가 온대였기 때문에 동물이 널리 분포하였다. 유대류(有袋類), 단공류(單孔類), 광비류(廣鼻類)가 없고, 식충류(食蟲類)가 발달하였다. (3)시집간 여자가 뒤통수에 땋아서 틀어 올려 비녀를 꽂은 머리털. 또는 그렇게 틀어 올린 머리털.
  • : (1)한자 부수의 하나. ‘鼕’, ‘鼙’ 따위에 쓰인 ‘鼓’를 이른다.
  • : (1)중국 북방계의 가곡(歌曲) 및 그것을 바탕으로 한 희곡. 금나라의 원본(院本)이 진화된 것으로, 원나라 때에 아주 성(盛)하여 원곡(元曲)이라고도 불리었으나, 명나라 때에 이르러 남방계의 남곡(南曲)에 밀려 쇠퇴하였다.
  • : (1)조선 시대에, 함경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를 통틀어 이르던 말.
  • : (1)‘함경도’의 다른 이름.
  • : (1)주로 극지방에서 초고층 대기 중에 나타나는 발광(發光) 현상. 태양으로부터의 대전 입자(帶電粒子)가 극지 상공의 대기를 이온화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빨강ㆍ파랑ㆍ노랑ㆍ연두ㆍ분홍 따위의 색채를 보인다.
  • : (1)북한을 괴뢰 집단이라고 낮잡아 이르던 말.
  • : (1)북쪽 교외. (2)예전에, 서울 창의문(彰義門) 밖의 근교를 이르던 말.
  • : (1)‘북구라파’를 줄여 이르는 말.
  • : (1)북쪽에 있는 나라.
  • : (1)북쪽에 위치한 군대. (2)미국 남북 전쟁 때 북부의 군대.
  • : (1)‘뻐꾸기’의 방언 (2)북쪽에 있는 왕궁이나 궁전.
  • : (1)경복궁을 창덕궁과 경희궁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 (1)북쪽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 : (1)중앙 부분을 수평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작은 영구 자석이 가리키는 북쪽 끝. (2)지축(地軸)의 북쪽 끝. (3)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할 때, 천구와 마주치는 북쪽 점. (4)‘북곡’을 달리 이르는 말.
  • : (1)베틀에서 북이 드나드는 공간. 날실을 끌어 올리기 위하여 매어진 잉아에 의하여 위아래로 벌어져 있다.
  • : (1)‘불두덩’의 방언
  • : (1)꿩과의 하나. 만주 특산으로 광택이 적어 아름답지 못하고 울음소리도 곱지 못하다. 한국 북부, 아무르,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 : (1)북쪽과 남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북녘’의 방언
  • : (1)네 방위의 하나. 나침반의 엔(N) 극이 가리키는 방위이다. (2)분단된 한국의 북쪽 지역.
  • : (1)‘북데기’의 방언
  • : (1)북쪽의 끝. (2)조선 시대에, 오방 토룡제(五方土龍祭)를 지내던 제단(祭壇). 서울 창의문 밖 여제단(厲祭壇) 옆에 있었다.
  • : (1)예전에, 중국에서 집의 북쪽에 있는 당집을 이르던 말. 집안의 주부(主婦)가 거처하는 곳이다. (2)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 (1)세계 식물 분포 구역의 하나. 북반구의 열대권 북쪽의 넓은 지역을 차지하며 기후에 따라 한대 식물구계, 구아 식물구계, 중앙아시아 식물구계, 지중해 연안 식물구계, 동아 식물구계, 북아메리카 동안 식물구계, 북아메리카 서안 식물구계로 나눈다.
  • : (1)‘북덕거리다’의 어근. (2)‘북데기’의 방언
  • : (1)남과 북으로 되어 있는 도에서 북쪽의 도를 이르는 말. (2)경기도 이북의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를 통틀어 이르는 말. (3)‘함경도’의 다른 이름. (4)대종교에서, 백두산의 북쪽 지방을 이르는 말.
  • : (1)나라에서 제사 지내던 사독(四瀆) 가운데 북쪽에 있는 강을 이르던 말. 신라 때에는 한산하(漢山河), 조선 시대에는 두만강, 대한 제국 때에는 용흥강을 일렀다.
  • : (1)무덤 앞의 혼유석을 받치는 북 모양의 돌.
  • : (1)북쪽을 기준으로 북쪽과 동쪽 사이의 방위(方位).
  • : (1)마소의 등에 실은 짐을 배와 한데 얽어 매는 줄. (2)타작마당에서 곡식에 섞인 티끌이나 쭉정이, 검부러기 따위를 날려 없애려고 바람을 일으키는 데 쓰는 돗자리. ⇒규범 표기는 ‘부뚜’이다. (3)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이라 하며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위치는 천구(天球)의 북극에서 약 30도 떨어져 있으며, 천추와 천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곳에서부터 그 길이의 다섯 배만큼 떨어진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국자의 자루 끝에 있는 요광은 하루에 열두 방위를 가리키므로 옛날에는 시각(時刻)의 측정이나 항해의 지침으로 삼았다. (4)사과 품종의 하나. 일본 아오모리현 사과 시험장에서 후지와 육오를 교배하여 1981년에 선발하였다. 숙기는 10월 중순이며 과실은 410그램 정도로 크고 원형인데 과피가 자홍색 또는 홍색 줄무늬로 착색되고, 과육은 육질이 치밀하며 황백색이고, 과즙이 많다. 당도는 15도로 높고 향기가 좋아 맛이 좋다.
  • : (1)북 모양으로 된 작은 등. 촛불을 켜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가는 대오리 따위로 테를 하고, 백지를 발라 북과 비슷한 모양이 되게 만든다.
  • : (1)‘북데기’의 방언
  • : (1)전염병이 돌 때, 전염병을 예방한다 하여 베틀의 북으로 식구 수대로 쌀을 떠서 만들어 먹던 백설기.
  • : (1)‘뱃대끈’의 방언
  • : (1)397년에 흉노(匈奴)의 저거몽손(沮渠蒙遜)이 후량(後涼)의 단업(段業)을 옹립하여 간쑤(甘肅)에 세운 나라. 중국의 오호 십육국 가운데 하나로서, 나중에 단업을 죽이고 독립하였으나 439년에 북위(北魏)에 멸망하였다.
  • : (1)북쪽으로 가는 길. (2)예전에, 서울에서 함경도로 통하는 길을 이르던 말. (3)북쪽에 있는 오랑캐.
  • : (1)산의 북쪽 기슭.
  • : (1)강물이나 냇물이 북쪽으로 흐름.
  • : (1)함경북도에서 나는 말.
  • : (1)중국 만주의 북부. 대체로 궁주링(公主嶺)의 북쪽 땅을 이르며, 쑹화강과 헤이룽강이 흐르고 있다.
  • : (1)‘수말’의 방언
  • : (1)장구나 북에서, 손으로 치는 왼쪽 가죽면. (2)북쪽으로 향함. (3)각 군(郡)의 북쪽에 있는 면(面). (4)스승 앞에서의 제자의 좌위(座位). 또는 제자가 됨. (5)신하의 좌위. 또는 신하로서 임금을 섬김.
  • : (1)북쪽에 있다고 하는 큰 바다.
  • : (1)관왕묘 가운데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에 있던 사당. 조선 고종 20년(1883)에 세워졌다가 1913년에 동묘(東廟)에 병합되었다.
  • : (1)북쪽으로 난 문. (2)성곽의 북쪽에 있는 문.
  • : (1)아메리카 대륙의 북부.
  • : (1)일정한 지역을 남북으로 반씩 나누었을 때, 북쪽에 해당하는 부분.
  • : (1)‘노을’의 방언 (2)조선 시대에, 서울에서 양주, 철원을 거쳐 경원(慶源), 아오지까지, 강원도, 함경도 지방에 이르는 파발(擺撥)의 통신망.
  • : (1)네 방위의 하나. 나침반의 엔(N) 극이 가리키는 방위이다. (2)북쪽 지방.
  • : (1)장 안에 가스가 차서 배가 붓는 병.
  • : (1)조선 시대에, 북쪽의 방백(方伯)이란 뜻으로 함경도 관찰사를 이르던 말.
  • : (1)무력으로 북쪽 지방을 치는 일. (2)중국에서, 국민 혁명군이 베이징의 군벌(軍閥) 타도를 목적으로 행한 출병(出兵). 쑨원(孫文)의 뜻을 받들어 1926년 장제스(蔣介石)를 총사령관으로 시작하여 한때 국공(國共) 분리 따위로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1928년 베이징을 점령함으로써 끝났다.
  • : (1)조선 시대에, 토지 대장에서 어떤 논밭이 그 앞 번호의 논밭 북쪽에 있음을 가리켜 이르던 말.
  • : (1)회좌(會座)할 때 좌석의 북쪽에 앉는 벼슬을 이르던 말. 보통 좌중(座中)에서 품계가 가장 높다. (2)임금이 앉는 자리.
  • : (1)일정한 지역의 북쪽 가장자리. (2)함경북도의 변두리 땅.
  • : (1)절에서, 뒷물을 담아 들고 다니는 병.
  • : (1)어떤 지역의 북쪽 부분. (2)고구려 때에, ‘절노부’를 행정 구역으로 이르던 말. (3)조선 시대에, 서울 안의 행정 단위인 오부(五部) 가운데 북쪽 구역. 또는 그 구역을 관할하던 관아.
  • : (1)부드럽고 무른 물건의 거죽을 자꾸 세게 갈거나 긁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두툼한 물건이나 질기고 얇은 종이, 천 따위를 자꾸 세게 찢는 소리. 또는 그 모양. (3)바닥이 번번할 정도로 닦거나 베는 모양.
  • : (1)함경북도의 변두리 땅. (2)북쪽 끝의 시골.
  • : (1)중국 당나라 때에, 이연수(李延壽)가 북위(北魏), 북제(北齊), 북주(北周) 및 수나라 4왕조 242년 동안의 사실(史實)을 기록한 역사책.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본기(本紀) 12권, 열전(列傳) 88권으로 이루어졌다. 100권. (2)중국에서, 죄를 범한 사람에게 내리던 사면령.
  • : (1)북쪽에 있는 산. 주로 성곽의 북쪽에 있는 산을 이른다. (2)함경남도 장진군 중남면과 신남면 사이에 있는 산. 개마고원의 일부를 이룬다. 높이는 2,070미터.
  • : (1)‘노을’의 방언 (2)‘무살’의 방언
  • : (1)함경도에서 나는 산삼. (2)중국 간도(間島)에서 나는 인삼.
  • : (1)북쪽을 향하여 올라감. (2)북쪽으로 진출하거나 진격함.
  • : (1)많은 사람이 야단스럽게 부산을 떨며 법석이는 일. (2)‘북풍’의 방언 (3)북쪽에 있는 국경이나 변방. (4)‘아침노을’의 방언 (5)‘모래’의 방언 (6)‘노을’의 방언
  • : (1)북쪽을 기준으로 북쪽과 서쪽 사이의 방위. (2)조선 말기에서 대한 제국 때까지, 서울 안의 오서(五署) 가운데 북부를 관할하던 경무 관서. 고종 31년(1894)에 두었다가 융희 4년(1910)에 없앴다.
  • : (1)무덤 앞의 상석을 괴는 북 모양으로 생긴 둥근 돌.
  • : (1)중국에서, 960년에 조광윤이 카이펑(開封)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1127년에 금(金)의 침입을 받아 정강의 변으로 서울을 강남(江南)의 임안(臨安)으로 옮길 때까지를 이른다. (2)사람이나 물건 따위를 북쪽으로 보냄.
  • : (1)‘노을’의 방언
  • : (1)내용적으로 알찬 줄거리에 기승전결의 구조를 가진 뮤지컬. <오클라호마>, <마이 페어 레이디> 따위의 요즘 대부분의 뮤지컬이 여기에 속한다.
  • : (1)책을 갖추어 놓고 파는 가게.
  • : (1)걸립패나 소리판, 악대 따위에서 북 치는 일을 맡은 사람. (2)북을 잘 치는 사람. (3)풍물놀이 따위에서 큰북을 치는 사람. (4)절에서, ‘뒷물’을 이르는 말. (5)북쪽 끝의 궁벽한 곳. (6)예전에, 함경도에서 만들던 기와. (7)머리를 북쪽으로 하고 자는 일.
  • : (1)‘노을’의 방언
  • : (1)어부들이 신는 두툼한 짚신 (2)작은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세페이드형(Cepheid型) 변광성(變光星)으로, 밝기는 실시 등급(實視等級) 2.5등급에서 2.64등급까지 변한다. 천구(天球)의 북극 가까이에 있고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아, 방위나 위도의 지침이 된다.
  • : (1)‘밑실’의 북한어. (2)‘밑실’의 방언
  • : (1)북이 나드는 씨실. (2)적도로부터 북극에 이르기까지의 위도. 적도를 0도로 하여 북극의 90도에 이른다.
  • : (1)아프리카 대륙의 북부.
  • : (1)서울의 경복궁 북쪽에 있는 산. 서울 분지를 둘러싸는 자연 요새의 하나로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이 산을 중심으로 서울 북쪽의 성벽이 축조되었다. 높이는 342미터. (2)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3)중국 산시성(山西省) 북부에 있는 산. 높이는 2,052미터.
  • : (1)중국 헤이룽장성 중부에 있는 도시. 교통의 요지로 부근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농기구 제조ㆍ농산물 가공 공장이 있다. ⇒규범 표기는 ‘베이안’이다. (2)강이나 바다 따위의 북쪽 기슭. 또는 대륙이나 반도 따위의 북쪽 기슭.
  • : (1)‘북’의 북한어.
  • : (1)북쪽에 있다고 하는 큰 바다. (2)북쪽의 바다. (3)중국 청나라 말기에, 장쑤성 이북의 즈리(直隷), 산둥(山東), 랴오닝(遼寧)의 세 성(省)의 연해(沿海)를 통틀어 이르던 이름. 즈리 총독(直隷總督)이 북양 대신(大臣)을 겸임하여 관할하였다.
  • : (1)말린 명태.
  • : (1)‘북어’의 방언
  • : (1)오호 십육국의 하나. 한인(漢人) 풍발(馮跋)이 409년에 후연(後燕)을 없애고 용성(龍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로, 436년에 북위(北魏)의 태무제에게 멸망하였다.
  • : (1)구한말에, 함경도 경성에 설치한 친군영(親軍營). 고종 14년(1877)에 두었다가 31년(1894)에 없앴다. (2)조선 후기에, 창덕궁 북쪽에 둔 훈련도감의 분영(分營). (3)함경도의 감영(監營).
  • : (1)아래위를 편평하게 깎아 내어 북 모양으로 만든 옥.
  • : (1)예전에, 함경북도에서 나던 녹용.
  • : (1)중국 명나라 초에, 몽골 지방으로 물러났던 원나라 때의 잔존 세력이 세운 나라. 명나라군의 여러 차례에 걸친 공격으로 곧 붕괴하였다.
  • : (1)적도로부터 북극에 이르기까지의 위도. 적도를 0도로 하여 북극의 90도에 이른다. (2)중국 남북조 시대의 북조(北朝) 최초의 나라. 386년에 선비족(鮮卑族)의 탁발규가 화베이(華北)에 세운 나라로, 적극적인 중국 동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반란이 일어나 534년 동위(東魏)와 서위(西魏)로 분열하였다.
  • : (1)조선 시대에, 사색당파의 하나. 이발(李潑), 이산해를 중심으로 한 당파이다. 우성전, 유성룡 등을 중심으로 한 남인(南人)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 (1)북한과 일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북쪽에 있는 담. (2)함경도에서 만드는 된장.
  • : (1)‘김유’의 호.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

실전 끝말 잇기

북으로 끝나는 단어 (267개) : 향북, 부북, 스와치 북, 패둔북, 옴니버스 북, 동서남북, 시북, 나는 북, 쿡 북, 재방북, 매거북, 흙북, 밀입북, 컬러링 북, 호마망북, 앱 북, 금북, 서북, 이북, 동미북, 패턴 북, 새북, 호랑새북, 움북, 콘티 북, 재입북, 쌔북, 따북따북, 전남북, 청거북 ...
북으로 끝나는 단어는 267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북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15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